-성제봉에서 섬진강만 바라보다-

 

157095494E633FF12B21B3

130E83494E634007049199

 

하동에서 섬진강을 거슬러 오르는 차창밖 풍경은 매화가 한창이다.
강따라 이어지는 구불텅한 모퉁이를 돌아 나설 때마다 산기슭 언덕배기를 하얗게 수놓고 있다.
섬진강은 강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곳이거늘
강나루 기슭의 낡은 마을에 활짝 피어난 매화가 조화를 부리니
초행의 성제봉을 찾는 마음은 들머리에 들어서기 전부터 달떠오른다.
이미 섬진강의 아름다움에 빠져 섬진강을 노래한 시인, 문인의 섬진강 정서를 몰랐다손 치더라도
섬진강을 처음 만났던 그 순간부터 더디게 흐르는 정겨운 강줄기에 매료되었음을 고백한다.

 

이미 개발의 손길로 황폐해진 여타의 강들과 섬진강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섬진강 까까이에 기대어 사는 정겨운 마을이며, 하얀 모래톱이 이룬 둔덕, 시누대 서걱이는 여울목,
섬진강을 빗어내는 산자락은 섬진강을 더욱 빛나게 하는 가장 한국적인 서경이다.
그래서 섬진강이 품고 있는 것은 다 좋다.
긴 겨울 칼바람 서러웠을 갈대밭에 봄바람 살랑이고
멈춘 듯 느리게 흐르던 섬진강은 지천으로 피어나는 매화 속에서 제 빛을 찾아가고 있다.
매화 지고나면 섬진강변은 분분한 벚꽃길로 화려하게 봄을 치장할 것이다.

 

입소문으로 익히 들어온 성제봉
섬진강을 한없이 굽어보며 걸을 수 있다던 그 성제봉과의 인연이 비로서 맺어지는 날이다.
노전마을 표석에서 한적한 시골길을 따라 청학사 오르는 길섶으로 막 피어난 매화가 먼길 온 길손 반긴다.
옅은 봄바람 스치울때마다 살풋 매화향이 전해진다.
매화향은 그윽한 맛이다.
향기란 그런 것이다. 너무 강하고 화려하지 않아 은은한 것.
자극적이라면 벌, 나비 쉬이 모여들긴 하겠지만 식상하기 쉬울 것이다.
사람도 그러하다. 곁에만 있어도 깊고 은은한 향을 풍기는 사람, 그런 향기를 품은 사람이 될 일이다.

 

1503C5494E63401B0CD3AE

 

온통 돌로 치장한 청학사를 지난다.
서늘한 기운 감도는 긴 대숲을 빠져 나가면 길은 꼬장꼬장한 된비알로 변한다.
대개의 산길은 격한 오르막을 만나면 이리저리 굽돌아 오르는게 정석이거늘
산죽 고샅으로 이어지는 길은 한치의 아량도 보이지 않는다.
도대체 이 오름의 끝을 가름할 수가 없다.
하늘이라도 한번 볼 량이면 짧은 모가지를 한껏 뒤로 젖혀야 겨우 산과 하늘의 경계를 볼 수 있다.

 

이 길 끝에서 섬진강을 볼 수 있다는 희망이 아니라면 되내려와 꽃놀음이나 하고 싶을 지경이다.
산을 오르는 것처럼 길 끝에 희망이 있다는 확신만 있다면 가시밭인들 기꺼이 헤쳐 나갈 터이지만
사람의 길에선 때로 한가닥 희망조차 보이지 않는 길에서 갈팡질팡 할 때가 있음을 부인하지 못한다.

 

1170E3494E63401D2A9995

 

거친 오르막에서 빈약한 체력을 바닥을 드러낼 즈음에야 겨우 하늘이 열린다.
성제봉은 그렇게 힘겨운 통과의례를 거친 자들에게만 비로서 제 모습을 허락한다.
성제봉에 서면 지리천왕부터 이어지는 지리주릉이 건너다 보이고 백운산 스카이라인이 선명하지만
눈은 섬진강과 드넓은 악양벌로만 향한다.


성제봉에선 시시콜콜 산을 캐는 일 따위는 필요치 않다. 발 아래 섬진강 하나면 충분하다.
섬진강과 성제봉은 한 몸이다. 게다가 초록으로 치장하는 악양벌이 넉넉하게 펼쳐지는 풍경은
성제봉의 유명세가 결코 허명이 아님을 비로서 실감한다.
조금전까지만 해도 기진했던 체력이 생기를 찾고 고단했던 발품은 이미 남의 것이 된다.
성제봉  주릉을 따라는 길에선 섬진강이 주인공이고 밑그림이 된다.
산행 내내 섬진강만 보며 걷는다.

 

1873F7494E63401E25AF4D

 

낮은 산자락엔 이미 봄꽃들이 앞다투어 피어나건만 성제봉을 휘감아 도는 봄바람은 아직 맵싸하다.
봄이라고 하지만 아직은 겨울 끝자락이다. 손끝이 시려온다.
바람피한 산봉 아래 어느 망자의 무덤가에 점심상을 차린다. 주거니 권커니 산정이 오간다.
발빠른 걸음도 뒤쳐진 걸음도 모두 한 자리에 모여 걸망 속 정을 나누는 시간이다.
고수레 음식을 기다리는 까마귀 두 마리의 기다림이 처연하다.

 

너른 헬기장 아래로 철쭉 군락지가 펼쳐진다.
꽃이 없더라도 길만으로 아름다운 곳.
섬진강이 있어 충분히 아름다운 이 길에 붉은 철쭉 분분하게 피어오르면 가히 환장하지 않을 이 뉘 있으랴.

 

206B3A494E63401F1F04F1

 

아슬하게 허공을 잇는 신선대 구름다리에서 올려다 보는 성제봉은 이제 가뭇하다.
까까워진 악양들은 비로서 푸르러 진다.
봄기운에 젖어든 강자락의 유연한 에스라인이 더욱 매혹적이다.

깍아지른 절벽을 내려서면 길은 솔향기 짙게 깔린 솔숲길이다.
편안한 길, 아껴가며 걷고 싶은 길이다.


통천문이라 이름지어진 좁은 바위틈을 빠져 나가면 속세는 한층 가까워진다.

일행들이 날머리로 향했을 최참판댁 갈림길을 지나 한고비 오르내리면 고소성이다.
아직도 산 욕심 버리지 못하는 못된 버릇이다. 정해진 길에서 벗어나는 것이 죄스럽지만
성제봉 산행에서 고소성을 빠트리는 것 또한 성제봉에게 죄스러운 일이다.

 

1170FD494E634020289082

 

깔끔하게 단장된 고소성에선 낡고 오래된 것이 그리웁다.
고소성에선 섬진강 물돌이가 바로 코 앞이다. 풍요의 악양벌과 은빛 모래톱이 어울어진
넉넉하고 평화로운 풍경 앞에선 더 이상 걸음을 옮길 수 없는 지경이다.
그럴 수만 있다면 이 자리에서 돌처럼 굳어 금빛 노을이 긴 띠를 이룰 섬진강을 기다려 보고 싶다.

 

127048504E634021176540

 

매화향 깊어진 최참판댁 문전을 어슬렁거린다.
내려선 저자거리에선 한 사발 가득 담긴 섬진강을 마신다.

 

-2008.3.12 한무리-

 

============================================================================================================================================

 

197655504E6340220D80DB

 

1462F6504E6340232904A4

 

185E4A504E63402430D024

 

184F6D504E634025342323

 

177AB7504E634025092928

 

1955D2504E63402634163B

 

176C19494E634027301441

 

146BA3494E6340283A5D85

 

177D3A494E6340291B23D5

 

157AC2494E63402A1D50A5

 

127E05494E63402B1BBEB8

 

141000494E63402C02130D

 

126AA4494E63402C34D4A3

 

194EF3484E63402D173085

 

144698484E63402E23AFB9

 

1443DA484E63402F257AEE

 

205425484E6340300F5423

 

144232484E63403128D59C

 

12464A484E634031265D63

 

15438A484E634032274193

 

16415F484E6340332A5F38

 

191DAB4A4E634034089A0F

 

1871494A4E634035381C09

 

190C174A4E63403623E008

 

1875C74A4E6340363D937F

 

1217484A4E634037133E2B

 

11067C4A4E6340392AA135

 

137A0A494E63403B1D4FCD

 

147095494E63403C2C3CE3

 

136192494E63403D390ED4

 

15014F494E63403D14AD9E

 

1375E8494E63403E260D80

 

186B3F494E63403F2F4314

 

196C8B494E6340402F3796

 

156F7D4B4E634041066280

 

15644B4B4E63404217EF85

 

115C514B4E634043238C55

 

115F724B4E6340431B914C